[Chpater 1] 오만과 편견(Pride and Prejudice) 번역해석 및 분석정리

2020. 10. 2. 23:48영어/오만과 편견(Pride and Prejudice)

안녕하세요! 언텐빌Y입니다. 오늘은 오만과 편견(Pride and Prejudice-Jane Austen)이라는 책을 읽고 해석과 분석을 해보았는데요. 오늘 한 것은 Chapter 1 입니다. 얼른 다 해치워버리고 감상문이나 쓰고싶네요 ㅠㅠ  

목차를 적어드리겠습니다.


1. Chapter 1 본문(영어) + 해석 + 문법

2. 단어 정리

3. 문법 한곳에 모아보기.






Pride and Prejudice(오만과 편견)

Chapter 1(제 1장)

- Jane Austen(제인 오스틴)


It is a truth universally acknowledged, that a single man in possession of a good fortune, must be in want of a wife.


재산을 많이 가진 독신 남자는 와이프를 필요로한다는 것이 보편적으로 알려진 생각이다. 



However little known the feelings or views of such a man may be on his first entering a neighbourhood, this truth is so well fixed in the minds of the surrounding families, that he is considered the rightful property of someone or other of their daughters.


이 생각이 주변 가정들의 마음속에 새겨져 있었기 때문에, 처음 이웃으로 온 남자의 감정이나 견해를 잘 모르는데도 그(이웃으로 이사온 사람)는 누군가 혹은 다른사람들의 딸들이 가져야 할 정당한 소유물로 간주된다.



My dear Mr. Bennet, said his lady to him one day, have you heard that Netherfield Park is let at last?

Mr. Bennet replied that he had not.

But it is, returned she; for Mrs. Long has just been here, and she told me all about it.

 

어느날 베넷의 아내가 그에게 말했다. 

"여보(베넷) 네더필드 공원이 마침내 임대로 나왔다는 소식을 들었어요?"

베넷은 듣지 못했다고 말했고 그녀(아내)는 대답했다.

"하지만 그래요." "롱 부인이 좀 전에 여기와서 저에게 이야기해줬어요. "


let과 have는 수동태가 되지않는다. 하지만 let이 be let처럼 수동의 표현으로 쓰이는 경우는 사역동사로서가 아닌 세를 놓다/임대하다/허용하다의 3형식 일반동사의 문장에서이다.



Mr. Bennet made no answer.

Do you not want to know who has taken it? cried his wife impatiently.

You want to tell me, and I have no objection to hearing it.

This was invitation enough.


베넷은 대답이 없었고 그의 아내는 조급해하며 외쳤다.

"당신은 누가 임대하는지 알고싶지 않나요?" 

"당신이 나에게 말하고 싶어하는데, 난 듣는것에 반대한적 없어."

초대받기에 충분하다.(왜 이 문장이 있는지 모르겠네요..)



Why, my dear, you must know, Mrs. Long says that Netherfield is taken by a young man of large fortune from the north of England; that he came down on Monday in a chaise and four to see the place, and was so much delighted with it, that he agreed with Mr. Morris immediately; that he is to take possession before Michaelmas, and some of his servants are to be in the house by the end of next week.

 

"왜 그래요 여보 당신은 반드시 알아야해요. 롱 부인이 말하길 네더랜드는 영국 북부에서 온 돈 많은 젊은 남자가 임대했다고 해요. 그는 월요일에 4두 마차를타고 와서 그 매물을 마음에 든다고 모리스씨랑 바로 계약했대요. 그는 미카엘 축제전에 임대할거고 그의 하인들 몇명이 다음 주말 마지막쯤에 집에 온다고 하더라구요."


Be to 용법 : 2형식 문장 (주어 + 자동사 + 보어) 에서 be동사가 자동사로 쓰이고, to 부정사가 보어로 쓰인다면 be to 용법이다. 이때, to 부정사는 문장의 부족한 의미를 채워주므로 꼭 있어야 함.
2형식 문장 : be 동사 + 보어(to 부정사) -> 주어가 to 부정사 한다는 의미이다.
be 동사는 1,2형식 문장에서 사용되고 자동사로 쓰이거나 보어와 함께 쓰여야 한다.
-> 본문은 are이 불완전 자동사로 쓰이고, to be라는 to 부정사가 보어역할을 해주고 있네요.



What is his name?

Bingley.

Is he married or single?

Oh! Single, my dear, to be sure! A single man of large fortune; four or five thousand a year. What a fine thing for our girls!


"그 사람 이름이 뭔데?" "빙리에요." "기혼이야 미혼이야?"

"오! 미혼이에요, 여보. 분명해요! 1년에 4~5천 파운드(영국 돈 단위)를 버는 돈 많은 독신 남자에요.  우리 딸들에게 얼마나 좋은 일인지!"

 

What a 형용사 + 명사 : 감탄문



How so? How can it affect them?

My dear Mr. Bennet, replied his wife, how can you be so tiresome! You must know that I am thinking of his marrying one of them.

Is that his design in settling here?

 

"왜? 그게 우리딸들에게 어떤 영향이 있는데?" 그의 아내는 대답했다.

"여보 어떻게 그렇게 답답할수가 있어요! 당신은 내가 우리 딸들중 하나랑 그의 결혼을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죠."

"그게 여기 정착하는 그의 속셈이라는 거야?"



Design! Nonsense, how can you talk so! But it is very likely that he may fall in love with one of them, and therefore you must visit him as soon as he comes.

 

"속셈이라뇨! 무슨소리에요. 어떻게 그렇게 말을해요! 하지만 그놈이 우리 딸들중 한명과 사랑에 빠지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거죠. 그러니 당신은 그가 오자말자 반드시 찾아가보세요."



I see no occasion for that. You and the girls may go, or you may send them by themselves, which perhaps will be still better, for as you are as handsome as any of them, Mr. Bingley may like you the best of the party.


"내가 보기엔 그럴 경우는 없을것 같네. 당신이 딸들이랑 가. 아니면 딸들만 보내던지 그게 어쩌면 더 나을수도 있겠네. 왜냐하면 당신이 딸들보다 더 아름다워서 빙리 씨가 그 파티에서 당신을 가장 마음에 들어할수도 있잖아."


for(왜냐하면) : 주어 + 동사 ~, for 주어 + 동사 이런식으로 나올 때 for는 왜냐하면으로 해석함.

as as 용법 : '~만큼 ~한', 어떤 대상들을 비교할 때 사용한다.

-> as be동사 + 형용사 as ... : ...보다 ~하다 / as 동사 + 부사 as ... : ...보다 ~하다




My dear, you flatter me. I certainly have had my share of beauty, but I do not pretend to be anything extraordinary now. When a woman has five grown-up daughters, she ought to give over thinking of her own beauty.


여보 비행기 태우지마요~ 나는 확실히 나의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지만, 이제는 전혀 잘난척하고싶지 않아요. 여자가 다 큰 딸 사섯이 있을땐, 여자는 자신의 아름다움에 대한 생각을 포기해야해요.


you flatter me : 과찬의 말씀을, 비행기태우지마~

 give over(포기하다) : give up과 같이 포기하다라는 뜻으로 사용.



In such cases, a woman has not often much beauty to think of.

But, my dear, you must indeed go and see Mr. Bingley when he comes into the neighbourhood.

It is more than I engage for, I assure you.”(숙어처럼 쓰이는 표현)

 

"그러한 경우에 한 여자는 주로 많이 생각하는 아름다움을 가지고있지 않아요."

"어쨌든, 여보 빙리 씨가 이웃으로 오면 확실히 찾아가봐야해요." 

"분명히 말하는데, 난 그건 약속할 수 없어."



But consider your daughters. Only think what an establishment it would be for one of them. Sir William and Lady Lucas are determined to go, merely on that account, for in general, you know, they visit no newcomers. Indeed you must go, for it will be impossible for us to visit him if you do not.


"당신의 딸들을 생각해주세요. 오직 당신 딸들중 하나에게 얼마나 멋진 결혼상대가 될지만 생각해보세요. 윌리엄 경과 루카스 부인도 단지 그 생각으로 가기로 결정했어요. 당신도 알잖아요. 평소에 그들이 새로운 사람에게 방문하지 않는다는걸.

당신이 가지않는다면 우리가 그를 방문하는 것은 불가능하니 꼭 다녀오세요."


establish : 여기서는 결혼상대로 해석하는 것이 맞는것 같다.


 

You are over-scrupulous, surely. I dare say Mr. Bingley will be very glad to see you; and I will send a few lines by you to assure him of my hearty consent to his marrying whichever he chooses of the girls; though I must throw in a good word for my little Lizzy.


"당신은 확실히 지나치게 세심하단 말이야. 내가 감히 말하는데, 빙리 씨는 기꺼이 당신을 만나줄거야. 나도 그럼 그가 어느 딸을 골르던 진심으로 동의한다는 확신을 위해서 몇 줄정도는 보내줄게. 우리의 막내 리지를 칭찬하는 말도 덧붙여야겠어.

 


I desire you will do no such thing. Lizzy is not a bit better than the others; and I am sure she is not half so handsome as Jane, nor half so good-humoured as Lydia. But you are always giving her the preference.


"당신이 그런짓을 하지 않았으면 해요. 리지는 다른 딸들보다 나은게 없어요. 나는 그녀가 제인의 절반만큼 이쁘지도 않고, 리디아처럼 유머러스하지도 않는다고 확신해요. 그런데 당신은 항상 그녀편만 드는지."  

 

not, (and)nor : 병렬구조로 and가 생략되었다. 둘 다 부정의 의미라서 nor이 쓰인다.



They have none of them much to recommend them, replied he; they are all silly and ignorant like other girls; but Lizzy has something more of quickness than her sisters. "


”그들은 모두 다른 여자들처럼 무지하고 철도없어서 추천할 것이 없는데, 리지는 

그의 언니들보다 더 명석함을 가지고 있잖아."



Mr. Bennet, how can you abuse your own children in such a way? You take delight in vexing me. You have no compassion for my poor nerves.


"베넷, 어떻게 당신의 아이들을 그런식으로 모함할수 있어요? 당신은 나를 괴롭히는게 즐겁나보네요. 당신은 나의 신경과민을 전혀 동정하지 않아요."



You mistake me, my dear. I have a high respect for your nerves. They are my old friends. I have heard you mention them with consideration these last twenty years at least.

 

"여보 오해하지마. 난 당신의 신경에 대해 아주 잘 알고있어. 그건 나의 오랜 친구인걸. 적어도 지난 20년간 당신이 그것에 대해 말하는 것을 주의깊게 들어왔으니까.



Ah, you do not know what I suffer.

But I hope you will get over it, and live to see many young men of four thousand a year come into the neighbourhood.

It will be no use to us, if twenty such should come, since you will not visit them.

Depend upon it, my dear, that when there are twenty, I will visit them all.


"당신은 내가 어떤 고통을 겪는지 몰라요."

"하지만 나는 당신이 그것을 극복하길 바라고 있어. 그리고 일년에 4천 파운드씩 버는 젊은 남자들이 이웃으로 오는걸 볼 수 있도록 오래 살아줘."

"그런 사람 스무명이 와도, 당신이 그들에게 가지않으면 우리에겐 아무 소용없어요."

"염려하지마, 여보. 20명이 올 땐 그들 모두에게 방문할게."


가정법미래 : 미래에 있지 않을 사실, 불확실한 상황을 가정한다.

if were to 가정법미래 : 100% 불가능 / if should 가정법미래 : 적은 가능성 있음

if would : 주어의 의지가 강하면 미래 일어날 가능성이 희박하다.

 


Mr. Bennet was so odd a mixture of quick parts, sarcastic humour, reserve, and caprice, that the experience of three-and-twenty years had been insufficient to make his wife understand his character. Her mind was less difficult to develop. She was a woman of mean understanding, little information, and uncertain temper. When she was discontented, she fancied herself nervous. The business of her life was to get her daughters married; its solace was visiting and news.


배넷 씨는 아주 특이했는데 명석하고, 비꼬는 듯 유머러스했고, 신중하고, 변덕스러움의 혼합물이었다. 23년의 경험은 그녀의 아내가 그의 성격을 이해하게 만드는데에 충분하지 못했다. 그녀의 마음은 알아내기 어렵지 않았다. 그녀는 이해력이 떨어지고, 아는것이 적었으며 감정의 기복이 심했다.

그녀가 불만스러울때, 그녀스스로 신경과민이라 생각했다. 그녀의 삶에서 일은 그녀의 딸들을 결혼시키는것이다. 그것(결혼시키는 것)의 위안이 되는것은 방문과 소식이었다.





[단어 정리]

in want of 필요해서        must be ~임에 틀림없다.        neighbourhood 이웃 사람들, 근처

surrounding 주변에        property 재산,소유물              may be on ~에 있을 수 있다.

dear 소중한, 사랑하는     at last 마침내                       reply 대답하다, 응하다

has just been here 방금 여기에 왔다.                          objection 반대

impatient 참을성 없는, 성공한, 조급한,                        chaise 마차

be delighted 반색을 하다                                         by the end of ~끝 무렵에

tiresome 성가신,짜증스러운                                      design 속셈,계획

settle 정착하다              occassion 기회,경우               by themselves 그들끼리만

perhaps 아마,어쩌면       extraordinary 비범한,놀라운     ought to ~해야 하다.

flatter 아첨하다             give over 포기하다                indeed 정말(확실히)

engage 사로잡다, 고용하다                               establishment 기관,시설,기득권층,지배층

merely 단지,그저           scrupulous 세심한,꼼꼼한        dare ~할 용기가 있다.

whichever 어느 쪽이든~ 한 것, 어느쪽을 ~하든             consent 동의,허락

though ~이긴 하지만, 그래도 ~이기는 하다.                 throw in 덧붙이다. 던지다

humour 유머, 농담, 유머러스함                            give pereference 특혜를 주다, 선호하다.

silly 장난스러운             ignorant 무식한,무지한           vex 성가시게(짜증나게)하다.

compassion 연민,동정심  depend upon it 염려하지마, 틀림없이

sarcastic 비꼬는             reserve 예약하다, 보유하다, 신중한,말수적은,내성적인

mixture 혼합물              caprice 변덕스러움                mean 별로 뛰어나지 못한

discontented 불만족스러운                                       fancy 공상하다

solace 위안, 위로, 위안이되는것

[문법 모아보기]

fortune 이 돈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것같네요.

let과 have는 수동태가 되지않는다. 하지만 let이 be let처럼 수동의 표현으로 쓰이는 경우는 사역동사로서가 아닌 세를 놓다/임대하다/허용하다의 3형식 일반동사의 문장에서이다.

Be to 용법 : 2형식 문장 (주어 + 자동사 + 보어) 에서 be동사가 자동사로 쓰이고, to 부정사가 보어로 쓰인다면 be to 용법이다. 이때, to 부정사는 문장의 부족한 의미를 채워주므로 꼭 있어야 함.
2형식 문장 : be 동사 + 보어(to 부정사) -> 주어가 to 부정사 한다는 의미이다.
be 동사는 1,2형식 문장에서 사용되고 자동사로 쓰이거나 보어와 함께 쓰여야 한다.
-> 본문은 are이 불완전 자동사로 쓰이고, to be라는 to 부정사가 보어역할을 해주고 있네요.

What a 형용사 + 명사 : 감탄문

as as 용법 : '~만큼 ~한', 어떤 대상들을 비교할 때 사용한다.

-> as be동사 + 형용사 as ... : ...보다 ~하다 / as 동사 + 부사 as ... : ...보다 ~하다


for(왜냐하면) : 주어 + 동사 ~, for 주어 + 동사 이런식으로 나올 때 for는 왜냐하면으로 해석함.


you flatter me : 과찬의 말씀을, 비행기태우지마~


give over(포기하다) : give up과 같이 포기하다라는 뜻으로 사용.


establish : 여기서는 결혼상대로 해석하는 것이 맞는것 같다.


not, (and)nor : 병렬구조로 and가 생략되었다. 둘 다 부정의 의미라서 nor이 쓰인다.


가정법미래 : 미래에 있지 않을 사실, 불확실한 상황을 가정한다.

if were to 가정법미래 : 100% 불가능 / if should 가정법미래 : 적은 가능성 있음

if would : 주어의 의지가 강하면 미래 일어날 가능성이 희박하다.